주요 개념
카카오클라우드의 Maintenance 서비스는 인스턴스의 OS, 엔진, 커널 업그레이드 및 설정 변경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용자는 작업을 생성하고 리소스별로 일정을 예약하여 직관적인 UI 환경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및 실행 상태 모니터링, 사전 알림, 자동화된 실행 관리를 통해 예기치 않은 장애를 예방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Maintenance주요 개념
Maintenance 서비스는 사용자가 정의한 작업 단위로 여러 리소스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며, 각 리소스별로 OS, 엔진, 커널 버전의 업그레이드 및 설정 변경 작업을 안전하게 실행합니다. 작업과 리소스 간 상태 연동 구조를 기반으로 실행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습니다. 실행 결과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며, 오류 발생 시 재시도 및 예외 처리를 위한 실행 상태 관리가 가능하고, 작업 현황은 직관적인 UI를 통해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대규모 유지보수 작업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장애 예방과 운영 효율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작업
카카오클라우드 서비스에서 OS, 엔진, 커널 등의 업그레이드나 설정 변경과 같은 유지관리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관리하는 개념입니다. 여러 개의 리소스를 묶어서 관리하며, 전체 실행 흐름과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업 단위 또는 리소스 단위로 일정을 설정하고, 실행 상태를 한눈에 파악하여 계획적이고 안전한 유지관리가 가능합니다. 작업에 포함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설명 |
---|---|
서비스 | 작업이 실행되는 대상 서비스 |
필수 여부 | 작업이 실행되는 필수 또는 권장 여부 - 필수: 반드시 마감 일정 내 실행해야 합니다. - 권장: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일정이 지나도 작업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일정 | 작업을 실행하기에 적절한 권장 일정 - 필수 여부에 의존하며, 권장의 경우에는 권장일자가 지나도 업데이트를 할 수 있습니다. |
중요도 | 작업의 우선순위를 구분하는 중요도 - 상/중/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구분하여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종류 | 작업의 업데이트 대상 - 예: Kernel Upgrade, Engine Upgrade, OS Update 등 |
중단 여부 | 작업 실행 시, 서비스 순단의 발생 유무 - 중단/무중단으로 구분되며, 중단일 경우 수 분 이내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대상 리소스 | 작업 안에 포함된 리소스 - 각 리소스들은 각각의 작업 일정과 실행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작업 상태 | 작업 전체의 진행 상태 - 작업에 포함된 리소스들의 상태를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 예: 대기, 예약, 진행중, 완료, 실패 등 |
리소스
작업에 포함된 개별 인스턴스 또는 엔진으로, 실제 업데이트가 되는 구성 요소를 의미합니다. 작업 내에서 리소스별로 일정과 실행 상태가 관리되며, 이를 통해 세부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에 포함되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설명 |
---|---|
리소스 이름 | 리소스의 이름 |
리소스 ID | 리소스별 고유 식별 ID |
작업 일정 | 작업을 실행하는 예약된 일정 - 권장 일정은 표시되지 않으며, 일정이 예약되지 않은 리소스는 하이픈( - )으로 표시됩니다. 사용자가 리소스별 일정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
실행 상태 | 작업 안에 포함된 개별 리소스의 실행 상태 - 하나의 리소스는 대기, 진행중, 완료, 실패 등 각각 다른 상태를 가집니다. |
Maintenance 서비스 상태
Maintenance 서비스에는, 2가지의 상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작업 상태와 리소스의 실행 상태가 있습니다.
작업 상태는 작업에 포함된 리소스들의 실행 결과를 종합하여 결정됩니다. 각 리소스별 상태에 따라 작업 상태가 달라지는 관계로 동작합니다.
- 작업 상태 : 전체 작업 단위의 진행 상태로, 여러 리소스의 실행 상태를 종합해 결정됩니다. 작업의 시작부터 완료, 실패, 진행중 등 전체적인 흐름을 확인합니다.
- 리소스 실행 상태 : 작업 안에 포함된 개별 리소스별 상태로, 리소스 하나가 대기, 진행중, 완료, 실행 오류 등 각각 다른 상태를 가집니다. 리소스별 상세 진행 상황과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힙니다.
메인터넌스 상태
작업 상태
작업 상태는 포함된 리소스들의 실행 상태를 종합하여 결정되는 전체 작업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구분 | 설명 | 분류 |
---|---|---|
대기 | 하나 이상의 리소스에 예약일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 작업이 생성된 이후 최초의 상태 | Gray |
예약 | 제외를 포함한 모든 리소스에 예약 일시가 설정된 상태 | Green |
진행중 | 작업에 포함된 리소스 중 1개 이상이 실행 중이며, 나머지는 완료/실패/진행중의 상태 - 진행중일 때, 완료/실패 리소스 수가 함께 표시됩니다. | Green |
완료 | 제외를 포함한 모든 리소스의 실행이 완료된 상태 | Green |
실패 | 제외를 포함한 모든 리소스의 실행이 실패된 상태 | Red |
제외 | 업데이트 작업 대상에서 제외시킨 상태 | Gray |
리소스 실행 상태
실행 상태는 각 리소스별 관리되는 개별 진행 상태를 의미합니다.
구분 | 설명 | 분류 |
---|---|---|
대기 | 예약 일시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 - 작업이 생성된 이후 최초의 상태 | Gray |
예약 | 예약 일시를 설정한 상태 | Green |
진행중 | 실행 중인 상태 | Green |
완료 | 실행이 완료된 상태 | Green |
실패 | 여러 사유로, 실행이 실패된 상태 | Red |
제외 | 업데이트 리소스 대상에서 실행 제외시킨 상태 | Gray |
Maintenance 제공 서비스
현재는 MySQL에 한해 메인터넌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향후 PostgreSQL을 비롯한 다양한 카카오클라우드 관리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추가될 예정입니다.
서비스 | 설명 |
---|---|
MySQL | OS, Engine, Kernel 업데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