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 생성 및 관리
Application Load Balancer(ALB) 는 OSI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트래픽을 처리합니다. ALB의 리스너(Listener)는 HTTP, HTTPS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기본 대상 그룹을 연결합니다.
각 리스너에는 기본 대상 그룹 이외에도 ALB 규칙을 추가하여 규칙에 따른 라우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우측 상단의 [로드 밸런서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
로드 밸런서 생성 화면의 유형 선택에서 Application Load Balancer 유형을 선택합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구분 항목 설명 기본 정보 로드 밸런서 이름 로드 밸런서의 이름을 입력 로드 밸런서 설명 (선택) 0~100자 네트워크 VPC 프로젝트에서 이용 가능한 VPC 중에서 선택 서브넷 선택한 VPC의 서브넷 목록 제공 리스너 프로토콜 HTTP
,HTTPS
포트 1~65535 범위 입력 최소 TLS 버전 HTTPS
선택 시에만 표시되며,TLSv1.2
,TLSv1.1
,TLSv1.2
중 1개 선택기본 SSL 인증서 HTTPS
선택 시에만 표시되며, 등록된 인증서 중 이 리스너에 연결된 인증서를 표시 -
설정값을 입력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리스너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에는 [새 리스너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신규 리스너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 생성 후, 설정을 변경하거나 리스너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 목록 조회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로드 밸런서의 목록을 확인합니다. 필요시, 필터를 통해 원하는 로드 밸런서를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로드 밸런서 목록
구분 설명 로드 밸런서 이름 생성할 때 입력한 이름과 생성 시 부여된 ID 표시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상태 로드 밸런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지 또는 수정이나 삭제가 진행중 인지에 대한 정보 운영(Operating) 상태 생성된 로드 밸런서가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유형 Application 또는 Network 프라이빗 IP 로드 밸런서에 자동으로 부여된 프라이빗 IP 주소 퍼블릭 IP 사용자가 할당한 퍼블릭 IP 주소 VPC 로드 밸런서가 포함된 VPC 가용 영역 생성 시 선택한 가용 영역 생성일 로드 밸런서 생성 일자 더 보기 아이콘 이름 변경, 퍼블릭 IP 연결/연결 해제, 삭제 기능 제공
로드 밸런서 상세 정보 조회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상세 정보를 조회하려는 로드 밸런서를 선택합니다.
-
상세 화면의 각 탭에서 세부 정보, 리스너,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설명 세부 정보 로드 밸런서의 세부 정보 조회 리스너 추가한 리스너의 목록을 확인하고 리스너 상세 정보를 조회 모니터링 최대 7일 동안의 모니터링 결과를 조회
- 인바운드 트래픽(bytes/sec): 리스너로 인입되는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량
- 아웃바운드 트래픽(bytes/sec): 리스너에서 외부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량
- 초당 연결(CPS): 리스너의 CPS(Connection Per Second) 값으로, 리스너에서 처리하는 초당 연결 수
- 유지 세션(Concurrent Session): 리스너가 동시에 유지하고 있는 세션 수
로드 밸런서 이름/설명 변경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로드 밸런서 목록에서 이름을 변경하려는 로드 밸런서의 [더 보기]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더 보기 메뉴에서 로드 밸런서 이름 변경을 선택합니다.
-
로드 밸런서 이름 변경 팝업창에서 이름이나 설명을 변경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퍼블릭 IP 연결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로드 밸런서 목록에서 퍼블릭 IP를 연결하려는 로드 밸런서의 [더 보기]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더 보기 메뉴에서 퍼블릭 IP 연결을 선택합니다.
-
퍼블릭 IP 연결 설정 팝업창에서 할당 옵션을 설정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 새로운 퍼블릭 IP를 생성하고 자동으로 할당: 신규 퍼블릭 IP 할당 후 연결 시
- 보유한 퍼블릭 IP 목록에서 선택: 기존 퍼블릭 IP 연결 시
퍼블릭 IP 연결 해제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로드 밸런서 목록에서 퍼블릭 IP 연결을 해제하려는 로드 밸런서의 [더 보기]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
더 보기 메뉴에서 퍼블릭 IP 연결 해제를 선택합니다.
-
퍼블릭 IP 연결 해제 팝업창에서 퍼블릭 IP 삭제 여부를 선택 후 [연결 해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연결 해제와 동시에 삭제하려면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 연결만 해제하려면 체크박스를 해제 상태를 유지합니다.
로드 밸런서 삭제
-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tworking Service > Load Balancing > 로드 밸런서 메뉴로 이동합니다.
-
로드 밸런서 목록에서 삭제하려는 로드 밸런서의 [더 보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더 보기] 메뉴에서 로드 밸런서 삭제를 클릭합니다.
-
로드 밸런서 삭제 팝업창에서 삭제 확인 문구를 입력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