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부록. VM Import 서비스 사용

온프레미스, 다른 클라우드 제공 업체 등 기존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던 VM 인스턴스, 커스텀 이미지 또는 디스크를 카카오클라우드 [공공기관용]의 Computing 서비스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안내
  • VM Import 서비스는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 환경에서만 제공됩니다.

서비스 특징

  • 보안 절차를 수행하여 안전하고 연속성 있는 Computing 서비스 제공
  • 이미지의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점검 절차 수행

VM Import 기동 절차

VM Import 기동 절차.png

  1. VM Export
    • 이 단계에서는 가상 머신(VM)을 내보내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및 구성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는 VM의 현재 상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2. 오프라인 전달/접수
    • 수집된 VM 데이터 및 구성 정보를 가공하여 오프라인으로 전달하거나 전달을 위한 접수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는 전송 방법과 관련된 사항을 조율하는 단계입니다.
  3. 이미지 보안 검수
    • 전달된 VM 데이터 및 구성 정보를 검토하고 보안 정책을 준수하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VM 이미지의 적법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4. 공공 Zone 이관
    • 보안 검수를 통과한 VM 이미지를 Public Zone으로 이관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VM 이미지가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영역에 위치하게 됩니다.
  5. VM 생성 및 할당
    • 공개 영역에 이관된 VM 이미지를 기반으로 새로운 VM을 생성하고 할당합니다. 이는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로, 사용자가 VM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6. 완료 공지
    • VM Import 서비스가 완료되었음을 관련 이해 관계자나 사용자에게 알립니다. 이는 프로젝트 진행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관련된 사람들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원 사항

VM Import 시, 다음의 이미지 형식과 운영 체제를 충족해야 합니다.

이미지 형식

  • OVA(Open Virtual Appliance)이미지 형식
  • ESX VMDK(가상 머신 디스크) 이미지 형식
  • 정적 및 동적 VHD/VHDX(가상 하드 디스크) 이미지 형식
  • Raw 형식

운영체제

  • Linux(64비트) : CentOS 7 / 8, CentOS Stream 9, RHEL 6 / 7 / 8, Ubuntu 14 / 16 / 18 / 20, Rocky Linux 8.10 / 9.4, AlmaLinux 8.10 / 9.4